티스토리 뷰
개발 환경 localhost에서 로그인 시 HttpOnly와 Secure로 설정된 리프레시 토큰 쿠키가 제대로 들어오는지 확인해야 했는데 개발환경이 http라서 확인할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습니다. 그래서 https로 localhost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게 되었습니다
1. mkcert를 설치합니다
GitHub - FiloSottile/mkcert: A simple zero-config tool to make locally trusted development certificates with any names you'd lik
A simple zero-config tool to make locally trusted development certificates with any names you'd like. - GitHub - FiloSottile/mkcert: A simple zero-config tool to make locally trusted developmen...
github.com
2.인증서를 생성해 줍니다
mkcert localhost 127.0.0.1
3.webpack의 devServer에 설정해 줍니다.
devServer: {
...,
port: 3000,
server: {
type: 'https',
options: {
key: './localhost+1-key.pem', // 생성된 파일의 이름을 입력해주세요
cert: './localhost+1.pem',
},
},
},
4. htttps로 잘 나오는 모습
------
주의
.gitignore에 pem키를 추가해주고 github에 올려야합니다
pem키는 공유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또한 인증서를 발급한 컴퓨터에서만 로컬 인증 기관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git으로 공유를 하더라도 의미가 없다고 합니다.
참고자료
mkcert - localhost를 https 환경으로 만들기
webpack의 dev server를 이용해 localhost로 개발을 진행하다보면 https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 생깁니다. (웹 서버가 http를 이용한 접근을 제한하거나 쿠키의 Secure 옵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등
yung-developer.tistory.com
DevServer | 웹팩
웹팩은 모듈 번들러입니다. 주요 목적은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JavaScript 파일을 번들로 묶는 것이지만, 리소스나 애셋을 변환하고 번들링 또는 패키징할 수도 있습니다.
webpack.kr
[React] localhost https 설정하기
개요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다 보면 localhost에서 https가 필요한 경우가 자주 있다. 예를 들어, 백엔드 API에서 Set-Cookie 헤더를 통해 쿠키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때 Secure 설정이 걸려있다면 웹 브라우
hojun-dev.tistory.com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노개북
- WSL2
- C언어
- error
- React
- 윤성우 열혈C프로그래밍
- 원티드
- env
- 아차산
- CLASS
- NextApiRequest
- import/order
- jest
- 프론트앤드
- TopLayer
- 북클럽
- 초보
- electron
- 노마드코더
- createPortal
- NextRequest
- Storybook
- nodejs
- 위코드
- 스토리 북
- nextjs
- 우아한테크코스
- javascript
- 프리온보딩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